사설 클라우드를 위한 오픈스택 구축 및 운영(1차)
과정소개
<<집체 교육 안내 사항>>
1. 운영 기간
1-1. 모집기간 : 4.29(월) ~ 6.24(월)
1-2. 교육기간(오프라인) : 6.25(화) ~ 6.28(금) 총 4일, 32시간
2. 집체교육 수강을 위해서는 아래 사항을 완료해야합니다.
2-1. 선발테스트* 진행(5월 20일부터 가능합니다.)
* 선발테스트 : 교육 수강에 필요한 필수지식 점검 및 경력현황 점검
※ 진행 방법 : 수강신청 → 나의 강의실 → 해당 과목 접속 → 퀴즈 진행(3번까지 응시 가능)
2-2. 재직증명서 OR 4대보험확인서 제출(6개월 이내의 발급한 증명서만 인정)
※ 제출처 : 나의강의실 → 회원정보수정 → 제출서류(파일첨부)
2-3. 타 기관·부처에서 취득하거나 이수한 클라우드 교육이력 확인(가점 10점) → 해당자만 제출
※ 제출처 : 나의강의실 → 회원정보수정 → 제출서류(파일첨부)
3. 교육 확정은 메일 및 문자로 별도 안내 됩니다.
(나의 강의실에 정상으로 표기 되어있어도 메일 및 문자를 받지 못하였다면 교육 확정이 아닙니다.)
4. 집체교육 수료 조건 : 출석 80% 이상, 프로젝트 결과물 제출, 수강후기 작성
<<세부 교육 내용>>

학습목표
강의목차
| 차시 | 강의명 |
|---|---|
| 1. 클라우드 | |
| 1차시 | 1-1. 클라우드 개념 |
| 2차시 | 1-2. 클라우드 종류 |
| 2. 오픈스택 | |
| 3차시 | 2-1. 오픈스택 개요 |
| 4차시 | 2-2. 오픈스택 서비스 아키텍쳐 |
| 3. 기본사용 | |
| 5차시 | 3-1. 대시보드 설정 및 접속 |
| 6차시 | 3-2. 명령어 설치 |
| 7차시 | 3-3. 명령어 사용 시의 인증/인가 및 기본사용법 |
| 4. 프로젝트 및 사용자 | |
| 8차시 | 4-1. Keystone 서비스 소개 |
| 9차시 | 4-2. 도메인과 프로젝트 개념 및 관리 |
| 10차시 | 4-3. 사용자/그룹 및 역할 관리 |
| 5. 인스턴스 | |
| 11차시 | 5-1. 플레이버 개념과 작성법 |
| 12차시 | 5-2. 이미지 생성 및 관리 |
| 13차시 | 5-3. 인스턴스 생성과 동작 제어 |
| 6. 네트워크 | |
| 14차시 | 6-1. 오픈스택의 네트워크 구성 확인 |
| 15차시 | 6-2. 내부용/외부용 네트워크 구성 |
| 16차시 | 6-3. 보안그룹과 유동IP를 이용한 접근설정 |
| 7. 스토리지 | |
| 17차시 | 7-1. 오픈스택의 스토리지 종류 소개 |
| 18차시 | 7-2. 인스턴스와 블록 스토리지의 관계 및 사용법 |
| 19차시 | 7-3. 오브젝트 스토리지 개념 및 활용법 |
| 8. 오토스케일링 | |
| 20차시 | 8-1. Heat 서비스와 템플릿 작성법 |
| 21차시 | 8-2. Octavia 서비스와 로드밸런서 |
| 22차시 | 8-3. 오토스케일링의 필요성 및 구성방법 |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