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라이빗 클라우드를 위한 오픈스택 구축 및 IaC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배포(2차)
과정소개
<<집체 교육 안내 사항>>
1. 운영 기간
1-1. 모집기간 : 8.18(월) ~ 10.17(금)
1-2. 교육기간(오프라인) : 10.20(월) ~ 10.24(금) 총 5일, 40시간
2. 집체교육 수강을 위해서는 아래 사항을 완료해야 합니다.
2-1. 선발테스트* 진행
* 선발테스트 : 교육 수강에 필요한 필수지식 점검 및 경력현황 점검
※ 진행 방법 : 수강신청 → 나의 강의실 → 해당 과목 접속 → 퀴즈 진행(3번까지 응시 가능)
2-2. 재직증명서 OR 4대보험확인서 제출(6개월 이내의 발급한 증명서만 인정)
※ 제출처 : 나의강의실 → 회원정보수정 → 제출서류(파일첨부)
2-3. 타 기관·부처에서 취득하거나 이수한 클라우드 교육이력 확인(가점 5점) → 해당자만 제출
※ 제출처 : 나의강의실 → 회원정보수정 → 제출서류(파일첨부)
3. 교육 확정은 메일 및 문자로 별도 안내 됩니다.
(나의 강의실에 정상으로 표기 되어있어도 메일 및 문자를 받지 못하였다면 교육 확정이 아닙니다.)
4. 집체교육 수료 조건 : 출석 80% 이상, 프로젝트 결과물 제출, 설문조사 참여
<<세부 교육 내용>>

학습목표
강의목차
| 차시 | 강의명 |
|---|---|
| 1. 오픈스택 개요 | |
| 1차시 | 1-1. 가상화 기술 |
| 2차시 | 1-2. 클라우드 개념 및 종류 |
| 3차시 | 1-3. 오픈스택 개념과 서비스 아키텍쳐 |
| 2. 오픈스택 설치 및 사용 | |
| 4차시 | 2-1. 다양한 배포 도구 및 설치법 확인 |
| 5차시 | 2-2. Kolla-ansible 혹은 Packstack을 이용한 배포 테스트 |
| 6차시 | 2-3. 대시보드 및 명령어 기본사용법 확인 |
| 3. 인증 서비스 | |
| 7차시 | 3-1. 도메인과 프로젝트의 개념 및 관리 |
| 8차시 | 3-2. 사용자/그룹 및 역할 관리 |
| 4. 기본 인스턴스 배포 | |
| 9차시 | 4-1. 플레이버 개념과 작성법 |
| 10차시 | 4-2. 이미지 생성 및 관리 |
| 11차시 | 4-3. 프로젝트 네트워크 생성 |
| 12차시 | 4-4. 인스턴스 생성과 동작 제어 |
| 5. 오픈스택 네트워크 | |
| 13차시 | 5-1. SDN과 오픈스택의 네트워크 |
| 14차시 | 5-2. 프로바이더 네트워크 구성과 라우터 연결 |
| 15차시 | 5-3. 보안그룹과 유동 IP를 이용한 접근설정 |
| 16차시 | 5-4. 로드밸런서와 Octavia 서비스 |
| 6. 스토리지 서비스 | |
| 17차시 | 6-1. 오픈스택의 스토리지 종류 소개 |
| 18차시 | 6-2. 인스턴스와 블록 스토리지의 관계 및 사용법 |
| 19차시 | 6-3. 오브젝트 스토리지 개념 및 활용법 |
| 20차시 | 6-4. 공유 스토리지 연결 구성 |
| 7. 오케스트레이션 | |
| 21차시 | 7-1. Heat 서비스 소개, 템플릿 |
| 22차시 | 7-2. 스택 배포 및 관리 |
| 8. 코드형 인프라 | |
| 23차시 | 8-1. Terraform 기본 문법 |
| 24차시 | 8-2. Terraform을 이용한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 배포 |


